9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004020) 노조는 전날(8일)로 예고했던 총파업을 연기하고 이날 사측과 임단협 교섭을 재개하기로 했다. 노조는 전날 오전 7시를 기해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사측이 지난 4일 교섭 재개를 요청하면서 파업을 전격 연기했다.
노사는 이번 교섭이 교착 상태에 빠진 임단협을 마무리 지을 사실상 마지막 기회로 보고 있다. 교섭의 최대 쟁점은 성과급 지급 규모가 될 전망이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 임단협 교섭을 시작했으나 현재까지 성과금 등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해 타결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현재 노사 협상에서 사측은 기본급 10만원 인상에 더해 ‘기본급의 450%+1000만원’을 성과금으로 제시했으나 노조는 충분하지 않다며 그룹사인 현대차의 ‘기본급 500%+1800만원’ 수준에 맞춰 달라고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비상경영에 돌입할 정도로 경영환경이 악화해 제시한 금액 이상으로 성과급을 지급하는 것은 무리라는 입장이다. 실제 현대제철은 지난해 중국발 공급과잉과 전방 수요 둔화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23조2261억원, 영업이익은 50.6% 감소한 3144억원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12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국내 철강산업은 큰 위기를 맞은 상태다. 산업통상자원부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철강 수출은 단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6% 감소한 26억달러를 기록했다.
이에 현대제철은 최근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전사 차원의 희망퇴직을 단행했다. 지난달 예고대로 4월 한 달간 인천 철근공장 전면 셧다운에도 돌입했다. 이미 노조 파업에 따른 손실 규모는 수천억원 수준으로 커진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도 파업에 따른 손실 규모가 커지면서 부담을 안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