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IR소개
IR소개
베스트멤버스
베스트멤버스
공지사항
공지사항
LG전자 ‘제조 AI’, 더 빠르고 정확해졌다
입력 : 2025-03-27 10:00:00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LG전자(066570)가 제품 개발 과정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LG전자의 제품 개발 검증 시간 단축 AI 기술을 적용한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LG전자는 AI을 활용해 완성 제품의 품질 예측 시간을 기존 대비 최대 99%까지 단축하는 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는 이 기술로 제품 개발 과정에서 수차례 반복되는 검증 시간을 줄여 개발기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시제품 제작 전 품질을 예측하기까지 매번 약 3~8시간이 소요됐다. 그러나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AI를 활용해 별도의 시뮬레이션 없이 3분 이내로 품질 예측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은 유사한 딥러닝 알고리즘 기반의 AI 기술과 비교해 분석을 위한 AI의 학습 시간을 95% 이상 단축하고 메모리 사용량은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정확도는 15% 이상 향상했다. 결과를 실제 제품에 가까운 3D 형태로 보여줘 개발자가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는 점도 특징이다.

제품 개발자들의 편의성도 높였다. 이 기술은 3D 도면 정보만 입력하면 오차를 줄이기 위해 도면 좌표를 기준에 맞춰 정밀하게 정렬하는 등 별도의 과정 없이 정확하고 빠르게 품질 예측 결과를 보여준다. 또 입력된 데이터를 압축·경량화하는 기술도 적용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세밀한 정보를 AI가 학습할 수 있다.

LG전자는 이 AI 기술을 자체 제조역량 강화에 우선 활용할 계획이다. 냉장고, 세탁기 등 생활 가전과 TV, 차량용 제품 등에 탑재되는 부품 설계에 순차 적용한다.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에도 적용해 지난해부터 본격 시작한 솔루션 외판 및 컨설팅 사업의 경쟁력도 높인다는 방침이다. LG전자는 오는 2030년까지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사업 외판 매출액을 조 단위 이상으로 키운다는 방침이다.

또 개발자들이 이 기술을 업무에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인 ‘Eng.AI(Engineering AI)’도 선보일 계획이다.

LG전자는 지난해부터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박찬영 교수팀과 제품 설계 과정의 효율화를 위한 검증 기술을 공동 연구해 왔다. AI 분야 글로벌 최고 수준 학회인 ‘국제머신러닝학회(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chine Learning)’에 관련 논문을 제출해 학술적으로도 기술 검증을 받을 예정이다.

정대화 LG전자 생산기술원장 사장은 “AI 기반의 검증 기술로 제품 개발 주기의 단축은 물론 개발 효율성 역시 크게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의 제품 개발 검증 시간 단축 AI 기술을 적용한 웹 기반 서비스 플랫폼 ‘Eng.AI’를 활용해 냉장고용 부품 품질을 예측하는 모습. (사진=LG전자)
이데일리 김응열 기자 keynews@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이데일리 기사의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지하며,
위반시 저작권법에 따른 법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기사목록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