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제철(004020)은 이날 오전 7시부터 12일 오전 7시까지 24시간 동안 생산을 중단한다고 공시했다. 생산 중단 사업장은 당진제철소, 인천공장, 포항공장, 순천공장 등이다. 12일부터는 중단했던 사업장 생산을 재개하고 정상 조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금속노조 결의대회 참석에 따른 노조의 총파업에 따라 당진제철소 내 제선, 제강, 연주 라인을 제외한 모든 생산시설의 가동을 24시간 동안 중단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최근 현대제철은 노조의 거듭된 파업으로 생산 차질을 빚고 있다. 앞서 현대제철은 지난 1일부터 시작된 노조의 무기한 파업으로 당진공장 냉연 라인 휴업에 돌입한 바 있다. 인천공장 대형 압연라인도 한때 노조 파업으로 생산을 중단했다.
노조는 회사가 정한 성과급이 적다며 파업을 강행하고 있다. 지난 6일 열린 임단협 20차 교섭에서 회사는 성과급으로 기본급 400%에 500만원의 경영성과급을 별도로 제시했지만 노조는 다른 현대차 그룹 계열사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라며 거부했다.
현대제철 노사는 지난해 9월 상견례 이후 단체교섭을 진행하고 있지만 해를 넘어서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노조는 현대차 수준의 임금과 복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올해 기본금 15만9800원(호봉승급분 제외) 인상과 차량 지원금 할인 개선 등을 요구하고 있다.
사측은 지난해 철강업계에 불어닥친 한파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해 노조 요구를 전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실제 현대제철은 지난해 중국발 공급과잉과 전방 수요 둔화로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0.4% 감소한 23조2261억원, 영업이익은 50.6% 감소한 3144억원이다.
이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에 수입되는 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공식 발표하면서 국내 철강업계가 전례 없는 위기에 놓인 가운데 현대제철은 파업에 따른 생산 차질이 장기화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회사 관계자는 “노사 양측은 현재 임단협 타결을 위해 지속적으로 대화하고 있으며 최종 합의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