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표적인 게 스마트 재난안전관리 서비스 도입이다. 가스공사는 행정안전부와 기상청, 산림청 등 9개 정부기관의 재난 정보를 하나의 플랫폼에 구현한 이 서비스를 도입함으로써 화재와 태풍, 호우 등 천연가스 저장·공급 설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재난 상황을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됐다.
AI를 활용한 이 플랫폼은 전국 5개 가스공사 생산기지 현장에 적용돼 재난 상황을 한 화면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음성으로 현장 상황을 알려준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이 서비스는 재난 상황 때 소중한 ‘골든 타임’을 확보해 국민 안전을 지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복지 사각지대를 줄이는 데도 AI 기술이 쓰인다. 가스공사가 올해부터 도입하는 도시가스 요금경감 원스톱 서비스가 그 주인공이다. 가스공사는 매년 2000만톤(t)에 이르는 도시가스용 천연가스를 도입해 이를 2000만여 가구와 사업장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 취약계층 가구에 대해선 복지할인 혜택을 주고 있다.
그러나 대상 가구 구성원이 직접 신청해야 지원해주는 제도 특성상 본인이 할인 대상인 줄 모르거나 신청하는 방법을 몰라 할인받지 못하는 ‘복지 사각지대’ 우려가 있다. 이는 2022년을 전후한 글로벌 에너지 위기와 그에 따른 도시가스 요금 급등 때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했다.
가스공사는 올해부터 도입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통해 정부 행정망과 연계해 미신청 수혜자를 찾아내고 이들이 복지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신청까지 대행해줄 계획이다.
|
가스공사는 궁극적으로 천연가스 생산·공급의 전 과정에서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를 한데 모아 분석하는 ‘디지털 두뇌’ 구축도 진행하고 있다. 현재 그 첫 단계로 진행 중인 ‘데이터 기반 설비운영 환경 조성사업’이 끝나면 가스공사의 핵심 사업을 AI 기반으로 최적화하는 출발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가스공사 관계자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는 단순한 행정 시스템의 변화가 아니라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혁신”이라며 “국민 안전과 편의, 중소기업과의 상생, 디지털 경쟁력 강화라는 세 목표를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