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IR소개
IR소개
베스트멤버스
베스트멤버스
공지사항
공지사항
밸류업 1년, '주주가치 존중' 문화 형성…중소형사 '미참여'는 과제
입력 : 2025-05-27 16:38:21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국내 증시의 고질적인 문제인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를 해소하기 위해 출발한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코스피 시가총액 기준 절반에 가까운 상장사들이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사주 매입·소각, 배당 확대 등 주주 환원이 확대하며 밸류업 프로그램이 ‘주주 가치 존중’ 문화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다만, 여전히 중소형 상장사들의 참여는 미흡해 인센티브 등 추가 유인책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는 과제도 남아 있다.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밸류업 프로그램 1주년 기념 행사’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한국거래소)
◇ 밸류업 1주년…“코스피 시가총액 기준 절반이 밸류업 참여”

거래소는 27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밸류업 프로그램 1주년 기념행사’를 진행하고, 주주 환원 문화가 확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은보 거래소 이사장은 “1년이란 짧은 기간이지만, 주주 가치를 존중하는 의미 있는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밸류업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추진이 기업의 성장과 투자로 이어지는 자본시장 선순환과 한국 경제의 혁신을 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22일 기준 예고공시 포함 총 152개 상장사가 밸류업 공시에 참여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기준으로는 약 49%가 공시한 셈이다. 업종별로는 산업재(32개사), 금융(22개사), 자유소비재(19개사) 순으로 나타났다. 밸류업 공시를 진행한 기업의 86%는 3년 이상의 중장기 목표기간을 설정했고, 90% 이상은 배당성향을 높이는 등 주주 환원을 하겠다고 알렸다.

밸류업 프로그램 시작 이후 자사주 매입·소각 비중도 늘었다. 총 현금 배당은 32조 7000억원이며 이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시작되기 이전보다 10.8% 늘었다. 자사주 취득 규모 역시 2023년 8조 2000억원에서 지난해 18조 7000억원으로 증가했고, 소각 규모 역시 4조 8000억원에서 13조 9000억원으로 증가했다.

또한, 거래소는 밸류업 공시를 한 기업의 수익률이 시장 평균 대비 우수하다며 밸류업 프로그램이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밸류업 공시기업의 2024년 평균 수익률은 4.5%로, 밸류업 미공시기업의 평균 주가수익률 -16.9% 대비 21.4%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같은 기간 코스피 지수의 수익률보다도 14.1%포인트 웃돌았다.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국내외 기관투자자의 평가도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소가 지난 4월 국내외 기관 투자자 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57%는 밸류업 프로그램이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기여했다고 답변한 것으로 파악됐다.

거래소 등은 향후 밸류업 프로그램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거래소는 이날 밸류업 공시 우수 기업 10개사를 선정하고, 밸류업 지수와 연계된 상품을 출시해 공시 우수 기업에대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밸류업 우수기업에는 KB금융(105560)과 HD현대일렉트릭(267260), 메리츠금융지주(138040), 삼양식품(003230) 등이 선정됐다.

(그래픽=이데일리 문승용 기자)
◇ 밸류업 과제 여전…“실질적인 인센티브 나와야”

다만,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과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 ‘밸류업 1년 차’에는 금융기업과 대형 상장사 중심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이 진행됐지만, ‘밸류업 2년 차’에는 비금융기업 중심, 나아가 중소형 상장사까지 본질 가치 개선이 확대돼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중소형사의 참여를 늘리기 위해서는 세제 인센티브가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재 거래소는 주기적 지정감사 면제 심사 시 가점을 부여하거나 거래소 연 부과금 면제, 거래소 공동 IR 우선참여 기회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 같은 인센티브는 중소형 상장사들이 비용을 감수하고서라도 밸류업 프로그램에 참여할 만한 유인책이 되지 못한다는 평가다.

올해 초 기획재정부는 ‘2025년도 경제정책 방향’에서 주주 환원 증가 금액에 한정해 법인세 5%를 세액 공제해주거나 배당 증가금액을 저율 분리과세를 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지만, 이후 이어진 탄핵 정국 속에 모멘텀을 잃었다.

이에 따라 차기 정부에서는 실질적인 세제 인센티브가 제공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또한, 밸류업 프로그램을 중장기적 관점에서 추진해야 하며,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모든 시장참가자가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장기간 주주수익률이 낮은 중·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주요 원인을 점검하고 개선 계획 공시를 유도하기 위한 시장 압력과 지원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며 “장기간 저평가 상태가 지속하는 문제에 대비해 법제적 접근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이용성 기자 utility@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이데일리 기사의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지하며,
위반시 저작권법에 따른 법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기사목록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