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9일 보고서를 통해 “증권주의 상승세가 무섭다. 주가는 연초 대비 평균 60% 이상 상승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연구원은 “증권주 상승을 견인하는 요소는 △이재명 대통령 당선인의 코스피 5000 달성 공약 △하반기 추경 편성에 따른 유동성 증가 △한국 금리인하 사이클 △규제완화 정도로 요약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그 중 코스피 5000 달성에 대한 기대감이 증권주에 폭발적으로 반영되는 모습”이라며 “이는 사실 상법 개정과 더불어 밸류업 정책의 연장”이라고 설명했다.
박 연구원은 “다만 새 정부 들어 더욱 공격적으로 바뀌었다”며 “밸류업의 본질이, 국내 상장 기업들의 거버넌스 구조를 개선시켜 한국 주식시장의 투자 환경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임을 감안하면 증권주 상승은 충분히 이해될 만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뿐만 아니라 유동성 증가, 금리 인하 사이클에 따라 거래대금 폭증, 운용손익 증가 등으로 증권사의 실적이 뒷받침 되는 것도 한 몫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증권주 주가가 연일 신고가를 경신하고 있지만 밸류에이션을 논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평가다.
박 연구원은 “상승폭이 가장 컸던 미래에셋증권(006800)의 주가순자산비율(PBR)은 이제 겨우 0.6배에 안착했고, 주가수익비율(PER)은 7.3배에 불과하다”며 “증권주는 여기서 추가상승해도 논란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커버리지 5사 평균 달성 가능한 자기자본이익률(ROE)ㅇ 11.2%임을 감안하면 이론적으로 PBR 1.0배까지 상승 가능하다”며 “다만 이것은 구조적 상승이라기보다 이벤트에 의한 기대감이 반영되는 측면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증권주의 구조적 상승을 위해서는 코스피 지수 5000 달성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되어야 하고, 증권사 실적 변동성이 완화되어야 하며, 각종 평가손익 및 운용손익이 반영되는 트레이딩 실적 회계 투명성 제고로 예측 가능성이 높아져야 한다”고 제시했다.
최선호주로는 한국금융지주(071050)와 키움증권(039490)을 제시했다. 박 연구원은 “단기적인 관점에서는 커버리지 5사를 비롯한 증권 대형주 모두 무차별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축제를 좀 더 즐겨도 될 듯 하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