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뉴스
IR소개
IR소개
베스트멤버스
베스트멤버스
공지사항
공지사항
작년보다 배당 공시 늘었다…주주환원 확대 분위기 자리잡히나
입력 : 2025-02-23 13:56:38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지난해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제고) 프로그램 추진과 함께 투자자들의 주주환원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업들이 배당 확대에 나서는 모습이다. 단기적인 주주 달래기용 전략이 아니라, 기업 경영 전반에 주주환원 정책이 뿌리내리는 구조적 변화가 진행 중이라는 기대가 나온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배당 공시가 증가한 가운데, 금융지주와 증권사뿐 아니라 중소형 성장주와 바이오 업종까지 배당 확대 흐름에 동참하는 분위기다.

서울 여의도 증권사 일대 모습. (사진=연합뉴스)
◇금융지주. 증권, 바이오업종 적극 배당 확대

2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따르면 지난 1년(2024년 2월21일~2025년 2월21일) 현금 또는 현금·현물배당 공시 개수는 총 1727건으로, 전년 동기(2023년 2월20일~2024년 2월20일)의 1537건 대비 12.36% 증가했다.

시장별로는 코스피가 972건으로 전년(875건) 대비 11.09%, 같은 기간 코스닥은 662건에서 755건으로 14.05% 늘었다.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배당 확대 기조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코스닥 시장의 증가율(14.05%)이 코스피(11.09%)를 웃돌아 중소형 성장주 중심의 배당 확대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이는 그간 대형주 위주로 이루어지던 배당 확대 트렌드가 중소형기업으로 확산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연초 이후(2025년 1월 1일~2월 21일)로만 비교해 봐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배당공시가 크게 늘었다. 이 기간 배당공시는 총 699건으로, 전년(621건)보다 12.56% 증가했다. 특히 코스피가 375건에서 430건으로 14.67%, 코스닥은 246건에서 296건으로 무려 20.33%나 늘어난 모습이다.

업종별로는 대표적으로 금융지주와 증권사, 바이오업종이 적극적으로 배당 확대에 나서는 추세다. 4대 금융지주 중에서는 하나금융지주(086790)가 주당 1800원, 배당총액 5047억원(시가배당률 3.0%)으로 가장 높은 배당금을 지급한다. 우리금융지주(316140)는 4900억원(주당 660원, 4.2%), 신한금융지주와 KB금융(105560)은 각각 2678억원(주당 540원, 1.06%), 3004억원(주당 804원, 0.9%)을 배당한다.

이외의 금융지주사들도 배당 확대에 동참하고 있다. 배당총액 기준 메리츠금융지주(138040)는 2400억원(주당 1350원, 시가배당율 1.2%), BNK금융지주(138930) 1433억원(주당 450원, 3.7%), JB금융지주(175330) 1293억원(주당 680원, 3.5%), DGB금융지주(139130)는 832억원(주당 500원, 5.4%)을 지급한다.

◇“주주환원 확대 흐름 확산될 것”

증권사 중에서는 미래에셋증권(006800)이 총 1467억원(보통주 250원, 1우선주 275원, 2우선주 250원)을 배당한다. 교보증권(030610)은 1주당 500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해 시가배당률이 9.3%에 달하며, 한국금융지주(071050)는 주당 3980원의 현금배당(시가배당률 5%)을 확정했다.

바이오 업종에서도 주주환원 정책이 강화되는 모습이다. 셀트리온은 주당 배당금을 지난해 500원에서 750원으로 상향 조정했고, 대한약품은 750원에서 900원으로 인상했다. 유한양행(450원→500원), GC(녹십자홀딩스, 300원→500원), 동국제약(190원→200원) 등 주요 종목들이 주주총회 시즌을 앞두고 연이어 결산 배당을 공시하며 주주 친화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과 투자자들의 주주환원 확대 요구가 맞물리며 기업들이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 정책을 더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황세운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금융지주사와 그 계열사들을 중심으로 배당에 대한 관심도가 다른 그룹에 비해 뚜렷하게 관찰된다”며 “이러한 배당 확대와 주주환원 흐름은 단기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방향성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이어 “투자자들의 가장 큰 요구사항인 만큼 정권이 바뀌더라도 정책 방향성은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며 “금융지주사를 중심으로 시작된 주주환원 확대 흐름이 향후 다른 산업 섹터로도 확산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김일환 기자]
이데일리 신하연 기자 summer1@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이데일리 기사의 무단전재와 재배포를 금지하며,
위반시 저작권법에 따른 법적 조치가 취해질 수 있습니다
기사목록
맨 위로